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임상화학. Clinical Chemistry

임상화학의 기본 용어 정리 - Terminology

by Systrader97 2022. 6. 13.

A. Pre-analytical error & biologic variation: 검사 전 변동요인

 

B. 채혈과 적절한 용기의 선택

i. 항응고제의 선택과 항응고제가 검사에 주는 영향

ii. 요 보존제의 종류와 검사에 따른 요 보존제 선택

iii. 우리 검사실에서 사용하는 용기의 종류와 해당 검사들에 대하여 이해한다

 

C. Workflow 파악

i. 검체채취 및 접수시스템 파악

ii. 검체 처리 과정 및 검사 과정 flow 파악

iii. 결과해석 및 보고 절차 파악

 

D. Terminology

i. Mean, SD, CV

특정 검사법을 통한 측정값들이 정규 분포(가우스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아래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Mean = 평균값인 동시에 빈도가 가장 많은, 즉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결과치.

-       정규분포에서 중심 위치(location of central tendency)를 이룬다.

SD =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

-       관찰되는 결과치가 흩어져 있는 정도.

CV = Coefficient of variation, 변이 계수

-       SD/Mean *100(%)

-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진 여러 검사 종목들의 정밀도를 함께 비교하기 위하여, 혹은 같은 검사법이라도 서로 다른 농도에서 검사 정밀도를 비교할 때 사용한다.

 

ii. 정밀도, 정확도, Calibration, Standard

정밀도(Precision) = 규정된 조건에서 동일 분석물질을 반복측정하여 얻은 독립된 값들이 일치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정밀도는 수치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비정밀도(Imprecision)”를 이용하여 수치로 표현한다. 비정밀도는 반복측정값의 불일치 정도를 SD, CV 형태로 정량 표현한 값이다.

정밀도의 구성 요소

-       Repeatability = Within-run Precision = 동일 조건의 분석환경(동일 검사술기, 검사자, 측정체계, 수행조건)에서 반복 측정하는 동안의 내재적인 변이를 반영한다.

-       Reproducibility = Run-to-run Precision = 서로 다른 분석환경에서 동일한 검체를 반복 측정한 값 사이의 일치도. 더 광범위한 정의

-       Random error / Systemic error

정확도(Accuracy) = 1회 측정값이 참값에 근접하는 정도

보정(Calibration) = 측정값을 정확히 읽을 수 있도록 측정기기를 조정하는 것.

-       농도가 알려진 분석물질(=Calibrator)을 통해 Calibration function(보정함수)를 결정한다!

-       Calibration function이란, 측정기기의 signal과 분석물질의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말하며, 검사법에 따라 선형, 비선형, 로지스틱 곡선형 등의 형태를 갖게 된다.

표준물질(Standard material) = Calibrator의 일종 = Samples with known amount of analyte

 

iii. Quality control, Control material

Quality control = 정도 관리

-       결과 분석 전, , 후를 포함한 모든 검사 단계의 오차를 관리하고 통제하여 신뢰성 있는 검사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노력을 말함. 내부 및 외부 정도 관리로 나뉜다.

-       내부정도관리를 위해 SMCDaily QC를 통해 실시하며 정밀도를 파악할 수 있다.

Ex) L-J chart를 통해 ±2SD 내에 측정값들이 들어오는지 확인.

-       외부정도관리의 경우, 같은 검사장비, 검사법, 검사 시약을 사용하는 다른 검사실들과 peer group을 맺어 진행하며 peer group들의 mean, SD를 구하여 이를 참값으로 생각하고 각 검사실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l  SMC Clinical Chemistry Lab의 경우, 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를 통해 국내 외부정도관리 연 4,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를 통해 해외 외부정도관리 연 2~3회 진행하고 있다.

-       검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차/오류(error)가 환자의 임상상태를 판단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Control material = 정도 관리 물질

-       농도를 알고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검사 물질로, 환자 검체와 동일하게 반응하여 검사 과정의 accuracy를 검정할 때 이용하는 물질.

-       Matrix =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제외하고 검체에 들어있는 모든 구성성분.

-       Matrix effect = Matrix 고유의 물리화학적 성상이 검사에 영향을 주어서 원래 농도와 측정치 간에 차이를 보이는 현상. Matrix effect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정도 관리 물질의 matrix는 환자 검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설정한다.

-       SMC Clinical Chemistry Lab에서는 효율성 및 경제성의 측면에서 Multi-control material을 사용한다.

Matrix effect가 증가하므로, 건강한 환자 검체로 검사했을 경우와 MCM으로 검사했을 경우 각 검사의 측정값이 비슷하게 나오는지 확인해야 한다!

 

iv. Reference interval, Cut off, Reportable range, Sensitivity, Specificity

Reference interval

-       Reference limit 사이 구간

-       Well defined reference population 에서의 통상적인 결과 범위로, 건강한 정상인 집단을 대상으로 얻은 측정값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말한다. (±2SD)

Cut off = 결정치

-       (+)/(-)로 결과를 보고하는 정성검사에서 양성과 음성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수치

-       Cut off: Sensitivity, Specificity

Reportable range = Physiological rangecalibration이 가능한 range를 고려하여 검사결과를 reasonable하게 report할 수 있는 범위

-       AMR (Analytical Measurement Range) = 측정 가능 범위 = 검체를 희석 혹은 농축하는 과정 없이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결과 범위.

검사실의 모든 정량검사에 대해서 AMR을 정립하고 검증해야 한다. 측정가능범위에서 타당성 확인(AMR Validation)이란 AMR 내에서 분석물질의 농도가 제대로 측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AMR 전 범위에 걸쳐 측정농도가 직선형 비례관계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

-       CRR (Clinically Reportable Range) = 임상 보고 가능 범위 = 검사결과를 통해 임상적으로 적절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검사실에서 설정한 결과 범위

AMR을 벗어난 검사결과를 보고해야 할 경우, 검체의 희석, 농축 혹은 전처리 과정을 거쳐 측정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à AMR 내 농도희석/농축 배수

Sensitivity (민감도) =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최소한의 함량을 검출해 낼 수 있는 능력

-       환자를 검사결과 양성이라고 분별하는 능력

Specificity (특이도) =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만을 검출해 내는 능력

-       정상인을 검사결과 음성이라고 분별하는 능력

v. Predictive value, Proficiency test

Predictive value (예측률)양성/음성 예측률

-       양성 예측률 (PPV) = 검사결과가 양성일 때 실제로 질병이 있는 비율

-       음성 예측률 (NPV) = 검사결과가 음성일 때 실제로 질병이 없는 비율

Proficiency test = 신빙도 평가 = 외부정도관리, External quality assessment (EQA)

-       동일한 검체로 산출된 검사결과를 다른 검사실과 비교하여 검사결과의 정확도를 확인.

 

E. 다음의 차이를 이해하시오

i. Control material vs. Calibrator

-       Control materialCalibrator 모두 농도를 아는 물질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       Control material은 검사방법의 정확도, 정밀도를 monitoring하는데 사용되고

-       Calibrator는 검체 농도를 계산해내기 위해 필요한 기준이 되는 물질이다.

ii. 정밀도 vs 정확도

정밀도 = Precision = 측정의 재현가능성 정도 = 측정값들의 분포 정도

정확도 = Accuracy = 참값에 근접한 정도

 Systemic errorCalibration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나, Random error는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Ref)

진단검사의학 제6판.

임상화학검사실 운영지침서(2021ver)

https://www.westgard.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