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임상미생물. Clinical Microbiology

비저. Glanders

by Systrader97 2023. 12. 25.

비저 (Glanders)

감염체: Burkholderia mallei

             G(-) coccobacilli, aerobic bacterium, non-motile, BSL-3

 

전파

- 말, 당나귀, 노새 등의 단제류에 치사율이 높은 전염성 질병.

- 대부분의 Burkholderia spp.는 토양에 존재하지만, Burkholderia mallei는 obligate mammalian pathogen이다.

-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여 감염되므로 수의사, 마부, 말 도살/정육업자, 검사실 직원 등의 occupational infection이 보고됨.

- 사람 간 감염은 보고된 바 없음.

 

분포: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앙/남아메리카

 

증상: 국소 감염, 호흡기 감염, 균혈증 등 다양하고 감염 조직에 (화농성) 농양을 잘 일으킨다.

 

진단: 생화학적 동정법 혹은 MALDI-TOF법을 사용하는 자동화장비에서 검출되지 못하거나 다른 Burkholderia spp.로 동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방/치료: 백신은 현재 없다.

1) 동물 감염

- 발병마가 생기면 전체 마필을 검역하고 양성마는 격리시킨다.

- 음성마도 매 3주마다 재검하고 철저히 소독한다.

- 치료는 sulfonamide 항생제를 20일 이상 투여.

2) 사람 감염

- B. pseudomallei 와 유사하게 aminoglycoside, polymixin, beta-lactam에 내성이고 ceftazidime, carbapenem, sulfonamide, tetracycline 등에 감수성을 보인다.

- 치료하지 않으면 ~90%의 사망률을 보이고 치료하더라도 ~50%의 사망률을 보인다.

 

검역: 비저는 2종 법정가축전염병에 속하여 가축전염병예방법시행규칙에 따라 관리된다.

가축전염병예방법시행규칙

 

바이오테러리즘

- 치사율이 높다.

- 사람에게 굉장히 드문 감염증이고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증상이 폐렴, 감기, 결핵 등과 유사하여 의심하지 않으면, 속한 진단과 치료가 어렵다.

- 과거 전쟁에서 생물학적 무기로 활용된 적이 있다. (US civil war, World WarⅠ/Ⅱ, Afghanistan wars)

생물테러감염병의 예시

 

Ref) CDC, BMBL 6th Edition, 농림축산검역본부

반응형

'진단검사의학 > 임상미생물. Clinical Microb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finase disk  (1) 2023.12.27
비저 vs. 유비저  (2) 2023.12.26
유비저. Melioidosis  (2) 2023.12.22
야토병. Tularemia  (2) 2023.12.21
법정 감염병과 Biosafety level (BSL)  (2) 2023.12.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