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진단혈액. Diagnostic Hematology

골수 검사(4) - Dysplasia 란?

by Systrader97 2022. 6. 21.

오늘은 MDS(골수 이형성 증후군) 진단의 근거가 되는 Dysplasi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Dysplasia 정의

=> Abnormality of Development. 형성 이상, 이형성증.

- Pre-neoplastic. Neoplasia보다는 덜 abnormal한 형태

- 유전자/염색체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여 세포 형태 및 기능이 이상해진다.

- 대개는 세포의 형태 이상을 지칭한다.

- MDS 진단의 primary clue가 된다 : Bone marrow에서 계열별로 10% 이상이 dysplastic한 경우, MDS를 진단명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2. Dysplasia 원인

- MDS, AML뿐만 아니라 다양한 non-neoplastic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 중금속 중독, 구리 결핍, Viral infection, Congenital anomaly 등등

- 즉, Dysplasia는 clonal disorder의 indicator는 아니다!!!

 

 

3. Bone marrow에서 Dysplasia가 보일 때 감별진단

- Megaloblastic anemia (Vit B12, Folate deficiency) : Erythroid lineage에서 megaloblastic change가 관찰된다.

- Drug/toxin exposure : Zinc, Arsenic, Benzene, etc

- Bone marrow failure : Aplastic anemia

- Hemophagocytic syndrome : HLH

- Low blast count AML

- MDS/MPN

- PN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 Chronic alcohol abuse

- Viral infections : HIV, Parvovirus B19, CMV

- Severe nutritional deficiency

- Copper deficiency

- Blood loss or hemolysis, ITP

- Hypersplenism

- Congenital abnormalities

- Artifact, stress, chronic diseases

 

 

4. Dysplasia의 종류

Erythroid(RBC, 적혈구 조상님)

Myeloid(WBC, 백혈구 조상님)

Megakaryocyte(Platelt, 혈소판 조상님)

이렇게 각각의 Hematopoietic lineage에서 각각 dysplasia를 기술해준다.

Dysplasia가 각각의 lineage에서 존재할 때, 각각 Dyserythropoiesis, Dysgranulopoiesis, Dysmegakaryopoiesis라고 부르며, 그 종류는 아래 표와 같다.

이제 골수 현미경 사진을 보며 Dysplasia의 종류를 익혀보자.

 

 

5. Dyserythropoiesis

1) Nuclear budding

 

2) Internuclear bridging

 

3) Karyorrhexis = Nuclear fragmentation

4) Multinucleation

 

5) Nuclear hyperlobation

 

6) Megaloblastic change & N/C asynchrony

=> 늘 헷갈리는 Dysplasia이다. WHO 6th edition에 따르면 Megaloblastic change와 N/C asynchrony를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솔직히 아직까지는 구별이 어렵다...

=> N/C asynchrony는 핵이 미성숙하여 chromatin pattern이 응축되어 있지 않고 fine하고 loose한 형태를 띄지만, 세포질은 은 성숙하여 mature RBC에 가까운 연분홍색을 띄는 경우이다. 즉, 핵이 세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성숙한 형태, 핵과 세포질이 maturation 차이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 Megaloblastic change는 핵과 세포질의 양이 증가하여 그 크기가 증가한 형태를 말한다. Megaloblastic anemia에서 보이는 dysplasia이며, macrocytic, hyperchromic한 형태를 보인다.

 

7) Ring sideroblasts

 

8) Vacuolization

 

 

6. Dysgranulopoiesis

1) Small or unusually large size

 

2) Nuclear hypolobation = Pseudo Pelger-Huet anomaly

3) Irregular hypersegmentation

 

4) Hypogranulation

 

5) Pseudo Chediak-Higashi granules

 

6) Auer rods

 

 

7. Dysmegakaryopoiesis

1) Micromegakaryocytes

 

2) Nuclear hypolobation

 

3) Multinucleation = Discrete nuclei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