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임상미생물. Clinical Microbiology

Haemaphysalis, 피참진드기

by Systrader97 2023. 8. 23.

Haemaphysalis (피참진드기)

 

Domain: Eukaryota / Kingdom: Animalia / Phylum: Arthropoda / Class: Arachnida / Order: Ixodida / Family: Ixodidae

 

- 거미 강에 속함. 다리 8

- Hard tick (딱딱한 응애)의 일종으로, 흡혈을 하는 체외 기생충 (Ectoparasite)

- 바이러스, 세균, 리켓치아, 원충 등을 옮길 수 있음 = Tick-borne transmission.

   #. Virus: Colorado tick fever,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 Bacteria: Lyme disease (라임병), Human granulocytic/monocytic ehrlichiosis (에르리히/아나플라즈마), 

                      Tularemia (야토병), Relapsing fever (재귀열)

   #. Rickettsia: Rocky mountain spotted fever

   #. Protozoa: Babesiosis

 

- Hard ticksoft tick의 구별은 비교적 쉬우나, hard tick의 종 구별은 어려움.

- 특정 속의 진드기가 특정 병원체를 전염하기 때문에 최소 속 수준의 식별이 중요함.

- 속 수준의 식별을 위해서는 머리 부분 및 입의 길이, 눈 유무, festoon (주름) 유무, 항문 홈의 모양 및 위치, 등판의 무늬 등을 관찰해야 함.

 

 

1. Hard tick vs. Soft tick

Hard Ticks (Ixodidae) Soft Ticks (Argasidae)
1. Dorsal shield, Scutum (등판)을 가짐 1. Dorsal shield, Scutum (등판) 없음
2. Capitulum (머리)은 앞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위에서 입을 볼 수 있음. 2. Capitulum (머리)복부 표면에 있고 앞쪽으로 돌출하지 않아 입 부분을 볼 수 없음.
3. 등배쪽으로 납작한 몸(충혈되지 않은 경우)  

 

2. 속 수준의 식별

Haemaphysalis가 일으키는 Tick-bourne disease인 SFTS를 간단히 살펴봅시다.

 

 

SFTS.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 SFTS virus (Dabie bandavirus)에 감염된 작은소피참진드기 (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물려 발생

- Dabie bandavirusPhenuiviridae , Bandavirus 속에 속하는 RNA virus

- 제 3급 법정감염병 & 인수공통감염병

- 주요 매개체: 작은소피참진드기 (Haemaphysalis, longicornis), 개피참진드기 (Haemaphysalis flava),

                       뭉뚝참진드기 (Amblyomma testudinarium), 일본참진드기 (Ixodes nipponensis)

 

- 증상: 38 이상의 고열, 위장관계 증상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위장관 출혈 등),

           심하면 출혈성 소인 (혈뇨,혈변 등), 다발성장기부전 및 DIC로 사망에 이르기도 함.

- 검사 소견: Thrombocytopenia, leukopenia, lymphadenopathy, AST/ALT/LDH/CK 상승

- 진단

Thrombocytopenia, leukopenia 있으면서 최근 야외활동 또는 진드기 노출력이 있는 경우 의심.

   #. 혈액에서 SFT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IgG)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발병 4일 후~6개월까지 검출, 1~4주에 양성률 가장 높음; 60~80%)

   #. 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치명률: 2013~2022년 국내 누적치명률은 18.7%

- 치료: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 보존적 치료. 필요 시 IVIG, Plasmapheresis

- 예방: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야외 활동 시 풀밭에 눕지 않기, 돗자리 사용하기, 옷 털고 세탁하기

- 사람-동물 간 SFTS 전파 가능성 있음. (동물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등에 손상된 피부가 노출될 경우)

  → 반려동물 등에서 SFTS 감염 주의 요구!!!

2023.04.17. 질병관리청에서는 SFTS 예방/관리 위해 사람-동물 공동 감시체계를 확대 실시하였다.

 

- 참진드기의 개체 수와 SFTS 발생률은 밀접한 상관관계 있다!!!

- 기본적으로 봄~가을, 4~11월에 호발

- 5, 9 - 약충, 유충 밀도 증가

- 6, 10 - SFTS 발생 증가

반응형

댓글